Post

[파이썬으로 구현하는 로보어드바이저] 2. 멀티 팩터 전략

아래 내용은 “파이썬으로 구현하는 로보어드바이저” 책을 공부하며 정리한 내용입니다.

Chapter 7. 멀티 팩터 전략

전략별 일별 수익

주식 시장이 좋을 때는 모멘텀, 내실 있는 기업만 살아남을 수 있는 시기에는 가치주, 찬 바람 불 때는 배당주. 조금은 단정적일 수 있어도 각 팩터가 경제 상황마다 각각의 유리함을 가질 수 있다.

그럼 그걸 반대로 생각해 보면 어떻게 될까?

가치주가 잘 나올 때는 기업의 버블이 꺼지는 시기, 모멘텀 전략의 성과가 좋을 때가 주식 시장의 호황기 그리고 배당주가 잘 나올 때는 투자자들이 하방 지지선이 필요하다고 느낀다는 식으로 해석하는 것이다. 팩터가 경기 사정에 맞춰 활약한다면 팩터의 수익률로 현재가 어떤 경제 상황인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경기 국면과 군집

경기순환경기 순환

호황기 는 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면서 경기 수준이 가속화돼 고점이 이르는 구간을 뜻 한다. 고성장과 고물가가 같이 나타나며 경기 확장 기조로 인해 모멘텀 팩터가 강세를 띠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후퇴기 에는 경기는 하락 초기의 구간으로, 물가는 여전히 상승한다. 다만 경제는 전반적으로 상향하므로 해당 구간은 상대적으로 짧다고 할 수 있다.

침체기는 경기가 하락하며 물가도 하락하는 구간이다. 투자와 생산이 극도로 줄어들고 대량 실업이 나타나며 금리도 낮아진다. 침체 구간에서 상대적으로 안정 기업의 부각 현상이 나타나면서 퀄리티 팩터가 활약한다고 알려져 있다.

마지막은 회복기 로 침체기에서 서서히 벗어나는 단계다. 기업의 재고가 감소하고 투자와 생산이 늘어남에 따라 경기는 상승하고 물가는 안정되며 주가와 금리는 오르게 된다.

국면 예측

거시 경기 데이터

주요경기지표주요 경기 지표

This post is licensed under CC BY 4.0 by the author.